맨위로가기

기욤 드 마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욤 드 마쇼는 1300년경에 태어난 중세 프랑스의 시인, 작곡가이다. 보헤미아의 요한 1세의 서기로 일하며 여러 귀족들을 섬겼고, 흑사병 이후 자신의 작품을 모아 『마쇼 사본』을 남겼다. 그는 아르스 노바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노트르담 미사곡』을 비롯한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그리고 다양한 시를 남겼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작곡가 - 필리프 드 비트리
    필리프 드 비트리는 14세기 프랑스의 작곡가, 음악 이론가, 성직자, 외교관이며, 음악 표기법과 리듬에 혁신을 가져온 《아르스 노바 노탄디》를 저술했다.
  • 십자군 문학 - 토르콰토 타소
    토르콰토 타소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서사시 《리날도》, 목가극 《아민타》, 대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 등의 작품을 남기며 유럽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십자군 문학 - 기욤 9세 다키텐 공작
    기욤 9세 다키텐 공작은 1071년에 태어나 1126년에 사망한 아키텐 공작이자 트루바두르이며, 15세에 공작위를 계승하여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고 1101년 십자군에 참여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을 남긴 작가로 서정시 전통 확립에 기여했다.
  • 1377년 사망 - 에드워드 3세
    에드워드 3세는 잉글랜드 플랜태저넷 왕조의 왕으로, 쿠데타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친정 후 스코틀랜드와의 전쟁, 백년 전쟁을 일으켜 승리했으나 말년에는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잉글랜드 의회 발전과 국가 정체성 강화가 이루어졌다.
  • 1377년 사망 - 지윤
    지윤은 고려 말 무녀 출신 어머니를 두었음에도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판숭경부사에 이르렀으나, 권신 이인임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친명파를 탄압하고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과 함께 북원과 심왕의 위협에 맞서기도 했으며, 이인임 제거 실패 후 처형, 조선 개국 후 왕실 외척이 되었지만 반역자로 기록되었다.
기욤 드 마쇼
기본 정보
자연의 여신과 세 딸에게 축복받는 마쇼
자연의 여신과 3명의 딸에게 축복받는 마쇼
이름기욤 드 마쇼
프랑스어 이름Guillaume de Machaut
출생1300년경
출생지프랑스, 랭스 근교
사망1377년
사망지프랑스, 랭스
직업작곡가
시인
음악 스타일
장르중세 음악
아르스 노바
영향 받은 음악 사조아르스 노바
영향 준 음악 사조아르스 수브틸리오르
언어
사용 언어프랑스어
라틴어
기타
활동 시기중세 시대
주요 활동음악 작곡
시 창작

2. 생애

기욤 드 마쇼는 1300년경(또는 1300년에서 1305년 사이) 7명의 자녀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 그의 성은 랭스에서 북동쪽으로 30km 떨어진 아르덴 지역의 마쇼 마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그는 랭스에서 성직자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1323년부터 1346년까지 보헤미아 국왕이자 룩셈부르크 백작이었던 요한 1세의 비서로 일했다. 그는 요한 왕과 함께 이탈리아, 헝가리, 보헤미아, 실레시아, 프로이센, 폴란드, 리투아니아 등 유럽 각지를 여행했으며, 이 중에는 프라하를 포함한 여러 군사 원정도 있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요한 왕으로부터 베르됭(1330년), 아라스(1332년)의 명예직을 받았고, 1337년에는 랭스 노트르담 대성당의 참사회원이자 사제가 되었다.[21]

1346년, 백년전쟁 중 크레시 전투에서 요한 1세가 전사하자, 마쇼는 랭스에 정착하여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곳을 떠나지 않았다. 그는 먼저 장 2세의 왕비이자 요한 1세의 딸인 봉느 드 룩셈부르크(1349년 흑사병으로 사망[2])를 섬겼으며, 이후 그녀의 아들인 베리 공작 장과 샤를 5세(당시 노르망디 공작), 나바라의 샤를 2세,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2세,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6세 등 여러 귀족과 통치자들을 후원자로 섬겼다.

마쇼는 1349년 유럽을 휩쓴 흑사병 대유행에서 살아남았으며, 1359년에서 1360년 사이에는 랭스 포위전을 겪기도 했다. 말년에는 자신의 작품들을 모아 여러 권의 필사본으로 남기는 작업에 힘썼다. 그는 1377년 4월 랭스에서 사망하여 랭스 노트르담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2. 1. 랭스 포위전

(섹션 내용 없음)

2. 2. 페론느 다르망티에르와의 사랑

마쇼는 유럽을 황폐화시킨 흑사병에서 살아남았고, 말년에는 랭스에서 작품을 작곡하고 그의 완전한 작품집 필사본 제작을 감독하며 보냈다. 그의 시 Le Voir Dit|르 부아르 디fra(아마도 1361년~1365년)는 19세 소녀 페론느 다르망티에르와의 늦은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 시가 실제 마쇼의 경험을 그대로 반영한 자서전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2]

3. 작품

마쇼는 아르스 노바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시인이다. 그의 음악은 복잡한 미사곡부터 짧은 노래까지 다양하며, 세속 음악과 교회음악 모두에 능숙했지만 특히 궁정 연애를 주제로 한 세속 음악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의 가장 유명한 음악 작품 중 하나는 한 명의 작곡가가 미사 통상문 전체를 작곡한 최초의 작품으로 평가받는 『노트르담 미사』(Messe de Nostre Dame|메스 드 노트르담프랑스어)이다.

시인으로서 마쇼는 발라드, 롱도, 비르레 등 다양한 형식의 정형시 약 400편을 남겼으며, 이 형식들을 완성하고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시는 대부분 궁정 연애의 전통을 따르며 정교한 운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dit|디프랑스어"라고 불리는 1인칭 서사시도 다수 창작했는데, 이는 주로 8음절 연구운으로 쓰였고 장미 이야기의 영향을 받아 풍유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서 개인적인 철학적 통찰을 드러내기도 했다.

생애 말년에 마쇼는 자신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노력을 보였으며, 시 창작에 대한 이론서인 ''서문''을 저술하고 작품집의 구성과 배열 순서를 지정하기도 했다.

3. 1. 음악

마쇼는 아르스 노바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복잡한 리듬의 음악을 만들었다. 그의 음악은 복잡한 미사곡부터 짧은 노래까지 다양하며, 장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전형적인 마쇼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다. 그는 세속적인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 노래 운동과 아르스 안티콰 교회 양식이 번성한 후에 활동했다.

성직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쇼는 80년 가까운 생애 동안 남긴 음악 작품 중 전례를 위한 종교곡보다 궁정 연애나 세태를 노래한 세속곡이 더 많다. 음악학자 질베르 레니는 마쇼가 세속 음악과 종교 음악 모두에 능했지만, 전례 교회 음악 분야는 상대적으로 덜 다루었다고 지적한다. 그의 미사곡, 호케투스 다비드(Hoquetus David|호케투스 다비드la)와 몇몇 라틴어 모테트를 제외하고 마쇼의 남아있는 작품은 전적으로 세속적인 것이다. 그의 작품 가사는 거의 항상 궁정 연애를 다루었으며, 특정 사건을 기념하기 위한 몇몇 작품도 있다.

마쇼는 주로 레이, 비르렐라이, 모테트, 발라드, 론도 등 다섯 가지 정형시(formes fixes) 장르로 작곡했다. 이러한 장르에서 마쇼는 기본적인 형식을 유지했지만, 종종 창의적인 텍스트 설정과 종지를 활용했다.

마쇼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노트르담 미사』(Messe de Nostre Dame|메스 드 노트르담프랑스어)로, 한 명의 작곡가가 미사 통상문 전체를 작곡한 최초의 작품으로 여겨져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다른 주요 작품으로는 여러 모테트와 독특한 리듬 기법을 사용한 『다비드의 호케투스』(Hoquetus David|호케투스 다비드la) 등이 있다. 그의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1. 종교 음악

성직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쇼는 80년 가까운 생애 동안 전례를 위한 종교 음악보다 궁정풍의 사랑이나 세태를 노래한 세속 음악을 더 많이 남겼다.

마쇼의 가장 유명한 종교 음악 작품은 『노트르담 미사』(Messe de Nostre Dame|메스 드 노트르담fra)이다. '노트르담'은 프랑스어로 "우리의 귀부인", 즉 성모 마리아를 가리키며, 이 작품은 "성모 마리아의 미사곡"이다. 이 미사는 1360년대 초, 아마도 랭스 대성당을 위해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최초의 순환 미사는 아니지만(투르네 미사가 더 이전에 작곡됨), 한 명의 작곡가가 하나의 단위로서 구상하고 작곡한 최초의 미사 통상문 전체 악장이라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마쇼는 자신의 미사가 텍스트 없는 간주곡을 포함하여 투르네 미사와 많은 스타일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에 투르네 미사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노트르담 미사』가 완전한 의미의 순환 미사인지에 대해서는 음악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이 있다. 대체로 이 미사는 조스캥 데 프레와 같은 후기 15세기 순환 미사의 전조 정도로 평가된다. 마쇼의 미사는 후대 미사와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이는데, 첫째, 미사 전체에 걸쳐 하나의 조성 중심을 유지하지 않는다. Kyrie|키리에lat, Gloria|글로리아lat, Credo|크레도lat는 한 가지 조를, Sanctus|상투스lat, Agnus Dei|아뉴스 데이lat, Ite, missa est|이테 미사 에스트lat는 다른 조를 사용한다. 둘째, 모든 악장을 관통하는 확장된 선율적 주제가 뚜렷하지 않으며, 모방 기법도 사용되지 않았다. 셋째, 각 악장이 개별적으로 작곡된 후 하나로 묶였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미사는 전체적으로 스타일적 일관성을 가지며, 사용된 성가는 모두 예수의 어머니인 마리아를 찬양하는 내용이다. 작곡가 자신이 이 작품을 하나의 완전한 미사곡으로 연주되기를 의도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노트르담 미사』는 일반적으로 순환 작품으로 간주된다. 한때 샤를 5세의 대관식을 위해 작곡되었다는 설이 있었으나, 현대 학계에서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본다.

마쇼는 아르스 노바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복잡한 리듬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을 만들었다. 그의 다른 종교 음악 작품으로는 모테트(모테투스)가 중요하다. 총 23곡의 모테트 중 6곡만이 라틴어 전례 가사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세속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다비드의 호케투스』(Hoquetus David|호케투스 다비드lat)는 이소리듬 기법에 기반한 작품으로, 복잡하면서도 매력적인 리듬 구조를 보여준다. 주로 기악곡으로 여겨지지만 성악으로도 연주될 수 있다. "호케투스"는 "음악의 딸꾹질"을 의미하는 기법으로, 두 성부가 한 음씩 번갈아 가며 빠르게 노래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3. 1. 2. 세속 음악

기욤 드 마쇼는 성직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음악 작품 중 상당수는 전례를 위한 종교 음악보다는 궁정 연애나 당대의 세태를 노래한 세속 음악이다. 음악학자 질베르 레니는 마쇼가 세속 음악과 종교 음악 모두에 능했지만, 전례 음악 분야는 상대적으로 덜 다루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 가사는 거의 대부분 궁정 연애를 주제로 삼았으며, M18 "Bone Pastor/Bone Pastor/Bone Pastor"처럼 특정 사건을 기념하기 위한 곡도 일부 존재한다.

마쇼는 주로 다섯 가지 세속 음악 장르, 즉 르, 비르렐라이, 모테트, 발라드, 론도를 작곡했다. 그는 이러한 장르의 기본적인 정형시(formes fixes)를 따르면서도, 종종 창의적인 가사 처리 방식과 종지를 활용하여 독창성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롱도 구절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긴 멜리스마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마무리되지만, R18 "Puis qu'en oubli"와 같은 일부 롱도에서는 대부분 음절 단위로 가사를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의 모테트는 특히 독특한 구성을 보여준다. 23곡의 모테트 중 상당수는 세속적인 프랑스어 가사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곡에서는 테너 성부에 성스러운 라틴어 텍스트를 배치하고 상위 두 성부에서는 세속적인 프랑스어 텍스트를 노래하게 하여 성(聖)과 속(俗)의 흥미로운 조화를 이루어내기도 했다. M12 "Corde mesto cantando/Helas! pour quoy virent/Libera me"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모테트를 제외한 다른 세속 장르에서는 성스러운 텍스트를 사용하지 않았다.

마쇼는 아르스 노바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복잡하고 정교한 리듬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을 만들었다. 그는 단성(모노포니) 및 다성(폴리포니) 샹송(가곡)을 많이 남겼으며, 특히 역행 카논 기법을 사용한 3성 롱도 '나의 끝은 나의 시작'(Ma fin est mon commencement)은 그의 혁신적인 작곡 기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마쇼의 대표적인 세속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모테트 「여인이여, 당신은 나에게 기쁨의 고통을 주는 자입니다」(Dame, je sui cilz)
  • 모테트 「아, 이 고통! 어찌 잊으리오」(Lasse! comment oublieray)
  • 모테트 「운명의 여신의 약속에」(Qui es promesses)
  • 롱도 「나의 끝은 나의 시작이다」(Ma fin est mon commencement)
  • 롱도 「장미여, 백합이여, 봄이여, 푸르름이여」(Rose, liz, printemps, verdure)
  • 발라드 「모든 꽃들 중에서」(De toutes flours)
  • 발라드 「사랑이 나를 갈망하게 만든다」(Amours me fait desirer)
  • 비르렐라이 「달콤한 숙녀여」(Douce dame jolie)
  • 비르렐라이 「나는 행복한 삶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Je vivroie liement)


한편, 마쇼는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다. 특히 노년의 마쇼에게 찾아온 19세 여성 페롱느 달망티에르와의 플라토닉한 사랑 이야기를 담은 시집 『진실의 이야기』(Le Voir Dit|르 부아르 디프랑스어)는 그의 문학적 재능과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3. 2. 시

기욤 드 마쇼는 약 400편에 달하는 방대한 양의 서정시를 남겼다. 그의 서정시는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가 이러한 고정된 시 형식들을 완성하고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기욤 드 마쇼의 서정시 작품 종류별 수
종류작품 수
발라드235편
롱도76편
비르레39편
레이24편
콩플랭트10편
샹송 로얄7편
총합약 400편



마쇼의 서정시 중 일부는 Le remède de fortune|르 르메드 드 포르튄프랑스어("운명의 치유")이나 Le voir dit|르 부아르 디프랑스어("진실된 이야기")와 같은 서사시, 즉 "dit|디프랑스어" 안에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운명의 치유"에는 각 장르의 서정시가 하나씩 담겨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서정시는 Les loanges des dames|레 로앙주 데 담프랑스어이라는 별도의 섹션에 순서 없이 모여 있다. 그의 시 대부분은 음악 없이 쓰였는데, 이는 그가 일반적으로 먼저 가사를 쓰고 일부만 음악에 맞추었음을 시사한다.

종교적인 내용을 담은 라틴어 모테트나 전쟁과 포로 생활의 고통을 그린 일부 시를 제외하면, 마쇼의 서정시는 대부분 궁정 연애의 전통을 따른다. 시들은 주로 여인에 대한 봉사와 사랑의 기쁨 및 고통을 노래한다. 기술적으로 마쇼는 매우 정교한 운율 구성을 선보였으며, 이러한 특징은 그를 15세기 그랑 레토리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요인이 되었다.

마쇼의 서사시 작품은 대부분 "dit|디프랑스어"(노래가 아닌 말로 전달되는 시) 형식이다. 이 시들은 대부분 8음절 연구쌍시로 쓰였으며, 당시 유행하던 로망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내용적으로는 장미의 전쟁의 관습을 많이 따르고 있으며, 풍유적인 꿈("송주"), 풍유적인 인물, 그리고 화자이자 연인이 그의 여인에게 돌아가거나 그녀를 만족시키려고 애쓰는 상황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마쇼는 키프로스의 왕 피에르 1세 드 루지냥의 기사도적 행적을 기록한 시적 연대기(''알렉산드리아 함락'')와 위안 및 도덕 철학을 다룬 시 작품들을 남겼다. 특히 그의 "디" 작품에서는 화자로서 자기 자신(서정적 자아)을 등장시켜 성찰하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개인적인 철학적 통찰을 드러내기도 한다.

생애 말년에 마쇼는 자신의 시 창작 기술에 대한 이론서인 ''서문''을 저술했다. 이 글에는 시를 정해진 장르와 운율 체계에 따라 구성하고, 이를 원고 내에서 별개의 섹션으로 정리하려는 그의 생각이 잘 나타나 있다. 작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그의 노력은 "기욤 드 마쇼가 그의 책에 갖기를 원하는 순서가 여기에 있다"(Vesci l'ordonance que G. de Machaut veut qu'il ait en son livre|베시 로르도낭스 크 G. 드 마쇼 뵈 킬 에 앙 송 리브르프랑스어)라는 제목의 MS A 필사본 색인에서도 확인된다.

아래는 그의 18번째 롱도인 ''Puis qu'en oubli|퓌 캉 우블리fro''의 원문과 번역이다.

Puis qu'en oubli sui de vous, dous amis,

Vie amoureuse et joie a Dieu commant.

Mar vi le jour que m'amour en vous mis,

Puis qu'en oubli sui de vous, dous amis.

Mais ce tenray que je vous ay promis,

C'est que ja mais n'aray nul autre amant.

Puis qu'en oubli sui de vous, dous amis,

Vie amoureuse et joie a Dieu commant.fro

(번역)

당신에게 잊힌 지금, 나의 달콤한 친구여,

사랑의 삶과 기쁨에 작별을 고합니다.

내가 당신에게 내 사랑을 쏟았던 날은 불운했지,

당신에게 잊힌 지금, 나의 달콤한 친구여.

하지만 당신에게 약속한 것을 지킬 것입니다,

다시는 다른 연인을 갖지 않겠다는 것을.

당신에게 잊힌 지금, 나의 달콤한 친구여,

사랑의 삶과 기쁨에 작별을 고합니다.

4. 영향

1377년 기욤 드 마쇼가 사망하자, F. 안드리외와 같은 다른 작곡가들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가를 작곡했다.

마쇼의 시는 외스타슈 드샹, 장 프로이사르, 크리스틴 드 피잔, 르네 앙주 공, 제프리 초서 등 많은 후대 작가들의 작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1359년 랭스 근처 혹은 1360년 칼레에서 초서가 포로로 잡혔을 때, 마쇼와 초서가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도 제기된다. 당시 두 시인 모두 브레티니 조약 비준을 위한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마쇼는 그의 후원자 장 드 베리와 함께 영국으로 가던 중이었고, 초서 역시 라이오넬 왕자에게 사자로 파견된 상태였다.

식품 역사가 윌리엄 워이스 위버에 따르면, 14세기 프랑스어를 사용하던 뤼지냥 가문의 니코시아(키프로스) 궁정 귀족들은 왕실 연회에서 종종 오락거리로 마쇼의 『알렉산드리아 점령』 이야기를 즐겨 들었다. 마쇼의 이야기처럼 십자군 영웅에 대한 서사는 뤼지냥 궁정 신하들이 예루살렘에 대한 자신들의 권리 주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4]

참조

[1] 백과사전 Franciscus, Magister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 학술지 Le Voir Dit and La Messe de Nostre Dame: aspects of genre and style in late works of Machaut
[3] 뉴스 A Love Affair That Burned for Centuries, at Least in Song https://www.nytimes.[...] 2013-11-17
[4] 서적 In the Presence of Power: Court and Performance in the Pre-Modern Middle East NYU Press
[5] 서적 Chansons. / Vol. 1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6] 서적 Chansons. / Vol. 2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7] 서적 The Mirror of Narcissus: songs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8] 서적 Messe de Notre Dame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9] 서적 Remede de Fortune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0] 서적 La Messe de Nostre Dame.: Le Voir Dit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1] 서적 Dreams in the Pleasure Garden: Chansons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2] 서적 Les motets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3] 서적 Unrequited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23
[14] 서적 Motets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5] 서적 Ballades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6] 서적 Messe Notre-Dame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7] 서적 Sacred and Secular music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8] 서적 Early Music: Lachrymæ Antiquæ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19] 서적 Ma fin est mon commencement...: polyphonies des XIVe et XVe siècles: transcriptions pour orgue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20] 서적 Art of Love: Music of Machaut https://www.worldcat[...] WorldCat 2021-08-17
[21]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